티스토리 뷰
목차
순천만국가정원 어린이 동물원에서 우리 아이들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세요~
순천만국가정원 내(서문)에 위치한 어린이 동물원은 아이들이 좋아하는 다양한 동물들을 만나볼 수 있는 곳입니다. 아래 사진들은 24년 11월 3일 실시간 사진입니다.
[24년 11월 3일 실시간 사진]
뽀로로의 친구로 친숙한 사막여우를 비롯해 미어캣, 토끼, 물범, 다람쥐원숭이, 풍산개 등 귀여운 동물들이 가득해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어린이 동물원 이용 정보 :이용요금, 주차장, 식물원 바로가기
[24년 11월 3일 실시간 사진]
운영 시간 | 09:00 ~ 17:00 (계절별 상이) |
연락처 | 061-749-2928 |
이용 요금 | 순천만국가정원 입장료 포함 |
체험 프로그램 | 계절 및 동물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방문 전 확인 필요 |
1. 사막여우
뽀로로의 친구로 유명한 사막여우는 큰 귀와 긴 꼬리가 특징입니다.
[24년 11월 3일 실시간 사진]
분포 지역
사막여우는 주로 아프리카 북부의 사하라 사막과 아라비아 반도의 건조하고 뜨거운 사막 지역에 서식합니다.
크기
사막여우는 개과 동물 중 가장 작은 종류에 속하며, 성체의 경우 몸길이가 약 35~40cm 정도입니다. 꼬리까지 포함하면 몸길이는 약 60cm 정도 됩니다.
특징
큰 귀는 체온 조절과 함께 작은 소리도 잘 들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부드러운 털은 뜨거운 햇볕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리고 발바닥의 털은 뜨거운 모래 위를 걸어 다닐 때 화상을 입지 않도록 보호해 주고, 낮에는 더위를 피해 굴 속에서 쉬고, 밤에 활동하며 큰 귀 덕분에 작은 소리도 잘 들을 수 있어 먹이를 사냥하는 데 유리합니다.
2. 미어캣
[24년 11월 3일 실시간 사진]
분포 지역
미어캣은 주로 남아프리카의 건조하고 탁 트인 초원이나 사바나 지역에서 무리를 지어 살아갑니다. 앙골라 남서부에서 남아프리카까지 넓게 분포하며, 땅굴을 파고 살기에 적합한 환경을 선호합니다.
크기
미어캣은 작은 체구를 가지고 있어요. 꼬리를 제외한 몸길이는 약 25~35cm 정도이며, 꼬리는 몸길이와 비슷하거나 조금 더 길 수 있습니다. 몸무게는 약 1kg 정도로 매우 가볍습니다.
특징
미어캣은 20~30마리 정도의 큰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서로 협력하여 먹이를 찾고 새끼를 키우는 등 공동체 생활을 합니다. 무리 중 일부는 꼿꼿이 서서 주변을 경계하는 보초를 서는데, 이 모습이 마치 사람처럼 보여 매우 인상적입니다. 그리고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높은 곳에 올라가 주변을 살피는 습성이 있습니다. 땅굴을 파기에 적합한 강하고 날카로운 발톱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곤충, 거미, 도마뱀 등 다양한 무척추동물과 작은 척추동물을 잡아먹습니다.
3. 토끼
귀여운 외모와 부드러운 털을 가진 토끼는 아이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특징
굴토끼는 산을 뛰어다니는 멧토끼와 달리 굴을 파고 숨어 살아요. 땅 파는 걸 좋아하는 굴토끼는 겁이 많고 귀가 커서 작은 소리에도 귀를 쫑긋 세워요. 귀여운 외모와 순한 성격으로 집에서 키우는 사람들이 많아져 집토끼라고 불리기도 해요.
4. 프래리도그
[24년 11월 3일 실시간 사진]
분포 지역
프레리도그는 주로 북아메리카 대평원 지역, 즉 캐나다 중부에서부터 미국을 거쳐 멕시코 북부까지 넓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크기
프레리도그는 다 자라면 몸길이가 약 30~40cm 정도이며, 몸무게는 약 1kg 정도 나갑니다.
특징
수십, 수백 마리가 함께 살며 복잡한 사회 구조를 이룹니다. 그리고 땅굴을 파고 살며, 먹이 저장, 육아, 휴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며 고음의 울음소리로 서로 의사소통하며 포식자를 경고합니다. 풀, 뿌리, 씨앗 등 주로 식물성 먹이를 먹습니다.
5. 다람쥐원숭이
[24년 11월 3일 실시간 사진]
분포 지역
다람쥐원숭이는 주로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열대 우림에서 서식합니다. 아마존 우림 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며,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크기
다람쥐원숭이는 작은 체구를 가지고 있어요. 몸길이는 약 25~35cm 정도이며, 꼬리는 몸길이와 비슷하거나 조금 더 길 수 있습니다. 몸무게는 약 750~1100g 정도로 매우 가볍습니다.
특징
원숭이 중에서도 뇌와 체중의 비율이 가장 커 매우 똑똑한 동물이며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서로 간의 유대감이 강합니다. 그리고 나무 위에서 주로 생활하며, 긴 꼬리를 이용하여 균형을 유지하며 과일, 곤충, 꽃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합니다. 또 나무 위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시력이 매우 좋습니다. 이렇게 다람쥐원숭이는 귀여운 외모뿐만 아니라, 높은 지능과 사회성을 갖춘 매력적인 동물입니다.
6. 알파카
[24년 11월 3일 실시간 사진]
순천만국가정원 어린이 동물원 서문 순천여행 24년 11월 사진
분포 지역
알파카는 주로 페루, 볼리비아, 칠레, 에콰도르 등 남미 안데스 산맥 고지대에서 서식합니다. 고산지대의 혹한의 추위와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는 동물입니다.
크기
알파카는 낙타과 동물 중 하나로, 라마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크기는 라마보다 작습니다. 성체 알파카의 어깨 높이는 약 90~100cm 정도이며, 몸무게는 50~80kg 정도입니다.
특징
알파카의 가장 큰 특징은 부드럽고 따뜻한 털입니다. 털의 색깔은 흰색, 검은색, 갈색 등 다양하며, 털의 품질이 매우 우수하여 고급 의류를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알파카는 성격이 온순하고 호기심이 많아 사람들과 친하게 지낼 수 있으며 고산지대의 낮은 산소 농도와 강한 자외선에도 잘 적응하여 살아갑니다. 그리고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서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합니다. 이런 알파카는 귀여운 외모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털과 온순한 성격으로 인해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7. 물범
[24년 11월 3일 실시간 사진]
물범은 1982년 천연기념물 제331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어요.
분포 지역
북극권을 중심으로 시원한 곳에 살지만 일부는 따뜻한 곳에서 살기도 해요..
서식장소
우리나라 백령도에서도 물범들이 서식하고 있어요.
특징
큰 물범은 물속에서 약 8분간 숨을 참을 수 있는 대단한 기록의 잠수부예요. 물범은 소시지 같은 미끈한 체형으로 물속에서 시속 10km의 속력으로 수영할 수 있어요
8. 풍산개
[24년 11월 3일 실시간 사진]
아름이와 가을이는 평양에서 열린 2018 남북정상회담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으로부터 분양받은 풍산개 곰이(암)와 문재인대통령의 반려견 마루(수) 사이에서 2021년 6월 4일에 태어났으며, 2021년 10월 13일 청와대에서 순천시로 보금자리를 옮겼어요.
분포지역
북한 양강도 풍산 지방
크기
체고 53~55cm, 체중 23~28kg
특징
추위와 여러 질병에 견디는 힘이 세고 먹성이 좋고 거친 사양관리조건에서도 잘 자라요. 경쾌하게 생기고 뒷다리가 곧고 탄탄하여 경사지와 산악지대에서 잘 뛰어다녀 경비와 사냥에 주로 이용해요. 영리하고 민첩해 적수와 만나면 무리 가운데서 제일 앞장서서 끝까지 싸우는 특징이 있어요.
9. 앵무새
[24년 11월 3일 실시간 사진]
분포지역
오스트레일리아 내륙 전역
크기
몸길이 18~20cm 체중 : 30~40g
특징
큰 무리를 이루고 강한 사회성을 지녀 먹이를 얻거나 천적으로부터 스스로 보호하는 데 유리해요. 번식기의 암컷은 콧구멍을 덮고 있는 부리 주위의 피부가 파란색에서 옅은 갈색이나 우윳빛의 베이지색으로 변하고, 수컷의 경우는 푸른색 또는 자주색 계열을 띄어요.
10. 홍학
[24년 11월 3일 실시간 사진]
홍학이란 홍학목에 속하는 6종의 새를 통칭해요. 쿠바홍학, 안데스홍학, 칠레홍학, 제임스홍학 등 4종은 아메리카대륙에 분포하고 유럽홍학과 꼬마홍학은 아프리카·유럽·아시아에 분포하고 있어요. 이곳에 있는 홍학은 쿠바홍학, 유럽홍학, 칠레홍학, 꼬마홍학 이렇게 총 4종이 함께 살고 있어요.
어린이 동물원의 매력
[24년 11월 3일 실시간 사진]
- 다양한 동물들: 사막여우, 토끼, 물범, 다람쥐원숭이 등 아이들이 좋아하는 동물들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
- 교육적인 공간: 동물들의 특징과 생태를 배우며 자연과 동물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체험 활동: 일부 동물들에게 먹이를 주거나 직접 만져볼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기도 합니다.
- 넓고 쾌적한 환경: 넓은 공간에서 동물들이 자유롭게 활동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제가 직접 현장에서 촬영한 사진과 더불어 순천만국가정원 공식 홈페이지에 게시된 내용을 참조하였습니다.)